재수생 멘탈이.. 노력에게 배신 당하고 싶지 않아요 열심히 하는데 불확실성을 품고 나아가야하는

재수생 멘탈이.. 노력에게 배신 당하고 싶지 않아요 열심히 하는데 불확실성을 품고 나아가야하는

노력에게 배신 당하고 싶지 않아요 열심히 하는데 불확실성을 품고 나아가야하는 게 너무 힘들어요 뛰어내리고 싶을 때도 많았지만 겁이 많아서 그렇게는 못하구요ㅋㅋㅋㅋ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아둥바둥 살아보지만 요즘 자신감이 많이 떨어져요 저 자신을 너무 못믿는 거 같아요 목표는 높은데 문제 몇 ㄱ개 차이로 떨어질 수도 있는 곳이라 더 불안해요 약간 광기도 생기는 거 같고 좀 이상해요 제가 하하………남은 7개월 제가 잘 버틸 수 있을지 솔직히 모르겠어요 힘둘어요!!!!!!!!!!!하소연입니다.

그 마음, 정말 절절하게 느껴져요. 지금의 불안과 압박감이 단순히 ‘시험 스트레스’라는 말로는 설명되지 않을 정도라는 거, 충분히 공감돼요. 열심히 하는데도 결과가 보장되지 않는 현실, 그리고 그 안에서 점점 흔들리는 자신감까지… 이 정도면 진짜 하루하루 버텨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대단한 일입니다.

<재수라는 여정은 누구보다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에요>

재수는 단순히 공부만 하는 시기가 아니라, 감정과 불안, 외로움, 자책까지 함께 떠안고 가는 시간이죠. 고3 때보다 시간이 많고 조건은 더 유리할 수 있어도, 그만큼 스스로에 대한 기대도 높아져서 한 문제, 한 실수에 마음이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어요.

질문자님이 지금 겪고 있는 감정, 그러니까

- ‘내가 이렇게까지 하는데 안 되면 어쩌지’ 하는 두려움

- ‘혹시 내가 지금 제대로 가고 있는 게 맞을까’ 하는 불확실함

- ‘목표는 큰데, 내가 그걸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자책

이 모든 건 지금 같은 시기를 보내는 수많은 재수생들이 겪고 있는 마음이기도 해요. 그만큼 이상한 게 아니라는 걸 먼저 기억해 줬으면 해요.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 아니요, '제대로 된 노력'은 배신하지 않아요>

질문자님이 말한 것처럼 "노력에게 배신 당하고 싶지 않다"는 말은 정말 간절하면서도 솔직한 말이에요. 하지만 여기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게 있어요.

‘노력이 배신하지 않기 위해선’,

‘결과가 보장되기 위해선’,

무작정 버티기보단,

내가 지금 하고 있는 방식이 맞는지 계속 점검하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많은 재수생들이 ‘그냥 더 오래 앉아 있으면 될 거야’, ‘문제 많이 풀면 언젠간 되겠지’라고 생각하면서 스스로를 몰아붙여요. 그런데 이런 ‘양적인 압박’은 오히려 더 빨리 지치게 만들고, 성과로 이어지지 않으면 자기혐오만 키워요.

질문자님이 말한 ‘광기 같은 감정’, ‘이상한 느낌’도 그동안 자신을 너무 몰아붙이고 억누르면서 생긴 반동일 수 있어요.

<7개월, 버텨야 할 시간이 아니라 ‘관리해야 할 시간’입니다>

이제부터는 단순히 버티는 게 아니라, 체력과 멘탈, 공부 전략을 ‘관리’하는 시기로 전환해야 해요. 아래에 몇 가지 실질적인 방법들을 소개할게요.

1. 계획보다 ‘루틴’을 만든다

- 오늘 몇 페이지, 몇 문제 같은 구체적인 계획보다,

아침 몇 시에 시작하고, 언제 쉬고, 몇 시에 마무리할지를

고정된 루틴으로 만들어 보세요.

루틴이 생기면 하루하루의 불안이 줄고, 성취감도 쌓여요.

2. 오답노트를 쌓지 말고 ‘복습 루틴’을 만든다

- 오답 정리는 많이 하지만, 그걸 다시 보는 사람은 적어요.

‘틀린 문제’보다 ‘틀렸던 개념’을 반복해서 정리하고

짧게라도 매일 다시 보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3. 모의고사 점수에 크게 휘둘리지 않기

- 지금 성적은 완성형이 아니에요.

7개월이면 수능 점수가 정말 많이 바뀔 수 있는 시간이에요.

특히 6, 9월 평가원 시험 이후에도 큰 변화가 생기는 경우 많아요.

4. 공부 외 시간에도 ‘정신적 자양분’을 채워줘야 해요

- 짧은 산책, 좋아하는 음악 듣기, 짧은 일기 쓰기,

이 모든 게 ‘시간 낭비’가 아니라, 다음 공부를 위한

마음 정비예요.

스트레스가 쌓인 채로 아무리 오래 공부해도 흡수율은 떨어집니다.

<자기 확신이 흔들릴 땐, 주변이 아니라 '과거의 나'를 봐야 해요>

지금처럼 자꾸 자신을 못 믿게 될 땐, 남들과 비교하거나 미래를 상상하기보다, 내가 여기까지 어떻게 왔는지를 돌아보는 게 더 중요해요.

- 중학교 때는 어땠는지

- 고등학교에서 얼마나 해냈는지

- 작년 수능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 지금 재수를 결심한 나 자신이 얼마나 용기 있었는지

그걸 기억해야 해요.

재수를 결심한 것 자체가 이미 절반의 성공이에요.

망설임 없이 포기한 사람도 많은데, 질문자님은 끝까지 ‘도전’을 선택했고, 지금도 계속 걸어가고 있어요.

<마무리>

지금은 하루하루가 전쟁처럼 느껴지고,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는 것 같지만, 분명히 지나고 나면 ‘그래도 해냈다’는 말이 나올 수 있는 시기예요. 힘든 순간마다 ‘난 왜 이걸 해야 하지?’라는 생각이 드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그럴 때마다 ‘나는 해낼 수 있다’는 확신을 스스로에게 조용히 되새겨 보세요.

지금처럼 진심으로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미 결과는 조금씩 가까워지고 있어요.

이 답변이 도움이 됐다면, 답변 채택과 ‘좋아요’ 부탁드려요!

←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