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잔고 증명서 워킹 홀리데이 때문에 예금 잔액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하는데요온라인으로 발급했더니 잔고가
워킹 홀리데이 때문에 예금 잔액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하는데요온라인으로 발급했더니 잔고가 계속 0원으로만 발급되어서(실제 잔고는 0원이 아닙니다) 결국 KB 국민은행 앱을 통해서방문 수령으로 발급 신청을 해두었습니다. 제가 은행 갈 시간이 늘 애매해서 2주 간 방문을 못 한 상태인데 이번 주에 가서발급 받아도 그때 신청한 날짜의 금액으로 발급이 가능한가요?신청 당시 일주일 동안은 해당 통장에 충분한 금액을 넣어둔상태였는데, 지금은 그 통장에 아예 돈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라다시 돈을 넣어야 하나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질문]
워킹 홀리데이 때문에 예금 잔액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하는데요
온라인으로 발급했더니 잔고가 계속 0원으로만 발급되어서
(실제 잔고는 0원이 아닙니다) 결국 KB 국민은행 앱을 통해서
방문 수령으로 발급 신청을 해두었습니다. 제가 은행 갈 시간이
늘 애매해서 2주 간 방문을 못 한 상태인데 이번 주에 가서
발급 받아도 그때 신청한 날짜의 금액으로 발급이 가능한가요?
신청 당시 일주일 동안은 해당 통장에 충분한 금액을 넣어둔
상태였는데, 지금은 그 통장에 아예 돈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라
다시 돈을 넣어야 하나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저도 과거에 비자 준비할 때 비슷한 상황이 있었는데요,
특히 잔액증명서가 신청 당시 금액 기준으로 발급되는지 정말 헷갈리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미 KB국민은행 앱에서 “방문수령용으로 발급 신청”하셨다면,
해당 증명서는 “신청 당시의 잔액 기준”으로 발급됩니다.
즉, 신청한 날짜의 금액이 증명서에 그대로 찍히기 때문에,
지금 통장에 돈이 없어도 다시 입금할 필요는 없습니다.
통장 잔고”를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앱에서 신청할 때 기준일을 선택하게 되는데, 그 날짜의 금액이 고정됩니다.
심지어 2~3주 뒤에 은행 가서 수령해도, 증명서에 기재되는 잔액은 신청일 기준 그대로 유지됩니다.
제 경험상 이렇게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 신청하신 증명서가 있다면 그대로 수령하시면 되고,
굳이 잔액을 다시 채워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단, 증명서 유효 기간은 보통 1개월 이내이므로,
워홀 비자 제출일 기준으로 너무 오래된 건 아닌지 확인만 해보세요.